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말소소하게즐기기564

부동산이중계약 과 집주인이전세를 싸게내놓는 속셈

부동산이중계약 과 집주인이전세를 싸게내놓는 속셈 에대해서 오늘은 알아볼께요. 누구나알아두면 쓸데있는 신기한팁 오늘시간은 부동산사기피해를 보지않기 위해 꼭 알아야할 팁이에요. 부동산이중계약 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부동산사기중 대표적인 것중 하나인데요 조금만 신경쓰면 예방할 수가 있죠. 그럼 부동산이중계약 사례를 보면서 대처할 방법도 생각해보시자구요. ex1) 부동산사기전문가 현사기는 인기가 높은집을 시세보다 높게 월세를 주는 조건으로 계약을하죠. 그런다음에 주로온라인직거래 사이트등에 시세보다 저렴하게 매물을 내놓고 임차인이 나타나면 위조된 신분증을 내밀고 부동산등기등본을 보여주면서 임차인을 안심시키고 속이는 수법. ex2) 원룸건물의 경우 계약이 빈번하고 관리를 위해 관리인이나 부동산중개업소에 일임을 하는.. 알아두면쓸데있는팁 2017. 10. 16.

묵시적갱신 재계약 차이와 보증금증액 재계약

묵시적갱신 재계약 차이와 보증금증액 재계약 관련해서 한번알아보죠. 알아두면쓸데있는신기한부동산팁을 함께 배워볼텐데요 일단 묵시적갱신과 재계약을 차이점을 먼저 알아볼께요. 많은 사람들이 집 전세계약을 하거나 월세계약을 하고 살면서 1년이나 2년뒤 재계약을 하는 경우가 많죠. 요즘은 재계약을 하는 경우도 많지도 금액이 변동이 없다면 많은경우 그냥 구두상으로만 계약 연장의사를 밝혀 묵시적갱신을 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죠. 그렇지만 재계약과 묵시적갱신은 엄연하게 큰 차이를 가지고 있으니 주목해 보시기바랍니다. 묵시적갱신이라고 하면 계약기간이 만료가 되었어도 집주인이나 세입자가 아무런 의사표시없이 그냥 지나가서 종전계약과 같이 연장이 되는 경우와 서로간에 의사표시를 하였더라도 계약서를 새로작성하지않은 경우에도 재계약의.. 알아두면쓸데있는팁 2017. 10. 14.

정선여행 정선아우라지 정선아리랑 본고장

정선여행 정선아우라지 정선아리랑 본고장 을 다녀왔습니다. 요즘세대는 외국문물과 문화에는 관대하고 경외심까지 보이지만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와 문화재에 대해서는 오랜된거, 꼰대문화, 따분한것으로 인식하고 있는게 사실인거 같아요. 언제부터가 명절에 한복을 입은 사람을 찾아보기 힘든시대가 되었고 민족에 전통운동인 씨름도 이제는 설날에나 겨우 티비에서 볼 수있는 젊은세대들은 관심조차없는 문화가 되어 버린거 같아요. 하물며 아리랑과 같은 무형문화재는 전수 받은려는 사람도 없을뿐만아니라 국가차원에서도 지원도 그리 많지 않아 한세대가 지나면 소중한 무형문화들이 사라질 것으로 생각되네요. 하지만 외국을 보면 자기나라의 전통을 무척사랑하고 문화재를 아끼는 것을 보면 무척 부럽기도 하죠. 그런반면에 우리나라의 문화를 바라보는.. 주말에어디가? (죽기전에꼭가봐야할여행지) 2017. 10. 13.

중도금 잔금 계약금 부동산용어정리

중도금 잔금 계약금 부동산용어정리 를 해볼텐데요 누구나 일생에 몇번은 어떤형태로든 매매계약을 체결할텐데요. 부동산이든 자동차든 선박이든 회원권이든 여러가지가 있겠죠. 그중에서 가장 빈도가 높은경우에는 아무래도 부동산거래 일텐데요, 원룸이나 오피스텔 월세 계약에서 부터 다세대나 아파트의 전세계약, 내집마련을 위한 주택매매계약까지 어떤 계약에서든 빠질 수없는 것이 바로 계약금 중도금 잔금 이겠죠. 물론 중도금이 없는 경우도 많이 있겠죠 그래서 많이들 들어봤지만 정확한 용어를 명쾌하게 알 수있게 용어정리를 해볼까해요. 계약을 체결하면 계약금을 지불하게 되는데요 법적으로 계약금을 얼마를 내야한다고 규정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그럼 계약금은 얼마를 내는것이 적당할까요? 정해진 바는 없지만 관례적으로 보토 10%를 .. 알아두면쓸데있는팁 2017. 10. 12.

전세계약서 분실 확정일자 받은 계약서가 없어

전세계약서 분실 확정일자 받은 계약서가 없어 져 당황하신적이 있으시죠? 저도 예전에 전세계약한 계약서를 잃어버려서 엄청 당황한적이 있었는데요. 그때만해도 젊을때라 세상물정도 잘모르고 어디에 알아볼때도 없었는데 그당시 계약했던 공인중개사사무소 도움을 받았던 기억이 납니다. 사회초년생들이나 집계약같은것을 많이 해보지 않은 경우 이처럼 전세계약서를 분실했을때 당황할수밖에 없는데요 이럴때는 어떻게 대처를 해야할까요? 일단 확정일자를 받은 전세계약서를 잃어버렸다고 해도 당황할 필요는 없구요 침착하게 행동하시면되요. 우선 부동산중개업소를 통해 전세계약서를 체결했다면 5년이내에는 부동산중개사무소에 계약서보관의무가 있으므로 계약했던 부동산중개업소를 찾아가셔서 복사를 하시면 되구요. 집주인과 직접계약이나 재계약을 하셨다.. 알아두면쓸데있는팁 2017. 10. 11.
반응형